고려시대 대외 관계의 변화: 거란, 여진, 몽골, 그리고 원 간섭기
고려시대는 외세의 침입과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 그 대외 관계가 급격히 변화해왔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거란, 여진, 몽골의 침입과 원 간섭기를 중심으로 고려의 대외 관계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거란의 침입 (10세기~11세기) - 호족의 대응
거란의 침입은 고려 초기 호족들이 주도하여 맞선 외세의 도전이었습니다.
주요 사건 및 인물
- 서희: 서희는 외교 담판을 통해 강동 6주를 획득하며 거란의 침입을 막았습니다.
- 강감찬: 강감찬 장군은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대파하여 고려를 지켰습니다.
결과
- 나성, 천리장성 축조: 거란의 침입을 막기 위해 나성(서울)과 천리장성(압록강에서 동해안까지) 등의 방어 시설을 축조하였습니다.
여진의 침입 (12세기) - 문벌귀족의 대응
여진의 침입은 문벌귀족들이 주도하여 대응한 시기였습니다.
주요 사건 및 인물
- 윤관: 윤관은 별무반(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을 편성하여 여진족을 물리치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습니다.
- 이자겸: 이자겸은 자신의 정권 유지를 위해 금나라에 사대하며 고려의 외교적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몽골의 침입 (13세기) - 무신의 대응
몽골의 침입은 무신들이 주도하여 맞섰던 매우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주요 사건 및 인물
- 최우: 최우는 몽골의 침입에 대응하여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하였습니다.
- 배중손 삼별초 항쟁: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진도, 제주도로 옮겨가며 몽골에 저항했습니다.
- 김윤후와 처인성 전투: 김윤후는 처인성 전투에서 몽골군을 격퇴하였습니다.
- 팔만대장경 조판: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해 팔만대장경을 조판하며 불교의 힘을 빌려 국난을 극복하고자 했습니다.
결과
- 무신정권 붕괴: 몽골의 침입과 그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무신정권은 결국 붕괴하였고, 권문세족(친원파)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원 간섭기
몽골의 침입 이후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을 받는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영토 축소
- 쌍성총관부: 철령 이북 지역을 원나라가 직접 통치하게 되었습니다.
- 탐라 총관부: 제주도 지역도 원나라의 통치 하에 놓였습니다.
- 동녕부: 서경 지역이 원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습니다.
관제 격하
- 2성 6부 -> 첨의부 4사: 고려의 중앙 관제가 원나라의 간섭으로 격하되었습니다.
- 중추원 -> 밀직사: 중추원이 밀직사로 변경되었습니다.
-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바뀌었습니다.
내정 간섭
- 정동행성: 원나라는 고려 내정에 간섭하기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하였고, 특히 이문소를 통해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습니다.
사회적 변화
- 공녀: 고려의 처녀들이 강제로 원나라로 보내졌습니다.
- 몽고풍 유행: 몽골의 풍습이 고려 사회에 널리 퍼졌습니다.
- 조혼: 공녀로 보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조혼 풍습이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결론
고려 시대의 대외 관계는 거란, 여진, 몽골의 침입과 원나라의 간섭을 통해 급격하게 변화해왔습니다. 각 시기마다 주요 인물들과 사건들이 고려의 운명을 좌우했으며, 그 결과로 정치적, 사회적 변동이 끊임없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고려 시대의 복잡한 대외 관계와 그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 194년 위만의 쿠데타, 최초의 쿠데타: 신화의 시대는 끝나고 - 역사적 전환점 탐구 (0) | 2025.04.09 |
---|---|
[고려 - 토지제도]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역분전 전시과 (0) | 2024.06.18 |
[고려 - 무신집권기]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0) | 2024.06.18 |
[고려 - 문벌귀족]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0) | 2024.06.18 |
[고려 - 통치체제]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2성6부 5도양계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