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발해]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대조영 무왕 문왕 선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발해의 역사와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유산을 남겼습니다. 이제 발해의 주요 왕들과 그 업적, 그리고 발해의 고구려 계승과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흔적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발해의 주요 왕과 업적

대조영
발해는 대조영에 의해 동모산에서 건국되었습니다. 대조영은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발해를 세웠습니다.

무왕 (인안)
무왕은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고 요서와 산둥을 공격하여 발해의 세력을 확장했습니다. 그는 연호로 인안을 사용했습니다.

문왕 (대흥)
문왕은 친당 정책을 펼치며 상경으로 천도하였고, 신라도를 개설하여 교류를 활발히 했습니다. 그는 연호로 대흥을 사용했습니다.

선왕 (건흥)
선왕은 요동을 확보하고 발해를 해동성국으로 불리게 했습니다. 그는 연호로 건흥을 사용했습니다.




발해의 고구려 계승 근거

1. 일본으로 보내는 국서: 발해 왕이 일본에 보내는 국서에서 "나 고려왕..."이라고 칭했으며, 이는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국임을 나타냅니다.
2. 이원적 민족구조: 발해의 지배층은 고구려인, 피지배층은 말갈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3. 건축 양식: 발해의 온돌과 모줄임 천장 구조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발해의 당나라 영향 근거

1. 3성 6부 제도: 발해는 당나라의 중앙 관제 제도를 본떠 3성 6부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2. 주작대로: 발해의 상경 용천부에 있는 주작대로는 당나라의 수도 장안의 주작대로를 모방한 것입니다.




감찰기관

발해와 고려 시대에는 중앙 관제에 감찰기관이 존재했습니다. 발해에는 중정대가 있었고, 고려에는 어사대가 있었습니다. 이들은 국가의 관리와 행정을 감찰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마무리

발해는 고구려의 계승국으로서, 고구려와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발해의 역사와 그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발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계속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발해.pdf
0.03MB
728x90
반응형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