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통일신라] 한국사 필기노트pdf 요점정리 요약정리 무료 pdf파일공유 무열왕 신문왕 장보고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일신라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중대와 하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통일신라는 전제왕권이 강화된 중대와 왕권이 약화된 하대로 나뉘어 각기 다른 특징을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각각의 시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대: 전제왕권 강화의 시기

통일신라 중대는 왕권이 강화된 시기로, 여러 가지 정책을 통해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중앙집권적 체제를 확립하려 했습니다.

정치적 변화
- 김흠돌 모역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상대등 세력이 약화되었습니다. 상대등은 신라의 고위 귀족으로, 왕권 강화에 큰 장애물이었습니다.
- 집사부 시중 강화: 집사부는 신라의 중앙 행정 기구로,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왕권이 더욱 공고해졌습니다.
- 6두품 등용: 신라 사회의 중간 계층인 6두품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왕권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 사정부 기능 강화: 사정부는 감찰 기구로, 부패와 비리를 단속하여 왕권을 뒷받침했습니다.


경제적 변화
- 녹읍 폐지: 녹읍은 귀족들에게 토지를 나누어주는 제도로, 이를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함으로써 귀족들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켰습니다.


사회적 변화
- 국학 설립: 국학은 신라의 최고 교육 기관으로, 인재 양성을 통해 중앙집권적 통치를 강화했습니다.
- 지방 제도 정비: 9주 5소경 체제를 통해 지방 통치를 강화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왕

- 무열왕: 통일신라의 초석을 다진 왕으로, 왕권 강화를 위한 여러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 신문왕: 만파식적 설화로 유명하며, 왕권 강화를 위한 많은 정책을 시행한 왕입니다.




하대: 귀족 간의 왕위 다툼과 왕권 약화

통일신라 하대는 귀족 간의 왕위 다툼으로 왕권이 약화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이 겹쳐 사회 전반에 걸쳐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습니다.


정치적 변화
- 김헌창의 난: 귀족 간의 권력 다툼이 심화되면서 반란이 빈번하게 일어났습니다.
- 상대등 세력 강화: 왕권이 약화되면서 상대등 등 귀족 세력이 다시 강해졌습니다.
- 집사부 시중 약화: 중앙 행정 기구의 권한이 약화되어 통치력이 감소했습니다.
- 6두품 퇴출: 중대 때 정치에 적극 참여했던 6두품이 정치에서 배제되었습니다.


경제적 변화
- 녹읍 부활: 귀족들에게 다시 토지를 나누어주는 녹읍 제도가 부활하면서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었습니다.


사회적 변화
- 선종과 풍수지리 유행: 새로운 종교와 사상이 유행하면서 사회적 변화를 촉진했습니다.




농민의 어려움과 호족의 등장

- 귀족들의 수탈로 인해 농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에서 호족들이 등장하여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고려의 건국

- 권력에서 배제된 6두품 세력과 지방의 호족들이 연대하여 신라를 무너뜨리고 고려를 건국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선종과 풍수지리가 사상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장보고

- 장보고는 청해진(완도)과 법화원을 통해 해상 무역을 장악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습니다.




결론

통일신라는 중대와 하대로 나뉘어 각기 다른 역사적 특징을 보입니다. 중대는 전제왕권이 강화된 시기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개혁을 통해 중앙집권적 체제를 확립하려 했습니다. 반면, 하대는 귀족 간의 왕위 다툼으로 왕권이 약화되고, 지배층의 수탈로 인해 농민들이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혼란이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방의 호족과 6두품 세력이 연대하여 신라를 무너뜨리고 고려를 건국하게 되었습니다.



통일신라.pdf
0.04MB



728x90
반응형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