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매도란 무엇인가 | 공매도 제도 | 공매도를 하는 이유 | 공매도 장단점

728x90
반응형

 

 주식시장에서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서 매도(공매도)한 후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싼값에 되사서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공매도는 투자자들이 약세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최근 국내 증시 상황처럼 주가가 급등락할 때는 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공매도란 

 공매도는 쉽게 말해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만원이고 향후 기업실적이 악화되어 주가가 5000원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일단 A기업의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냅니다. 그리고 실제 주가가 5천원으로 떨어졌을 때 A기업의 주식을 다시 사서 결제일 안에 돌려주면 됩니다. 이때 시세차익인 5000원을 얻게 되는데 이를 공매도라고 합니다.

 

 



공매도 제도는 어떻게 운영될까?

 공매도 거래는 크게 차입공매도와 무차입공매도로 구분됩니다. 차입공매도는 개인투자자가 증권사 등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매도주문을 내는 것이며, 무차입공매도는 기관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가 주식을 빌리지 않고 매도주문을 내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차입공매도만 허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반드시 해당 종목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공매도는 왜 하는걸까?

 공매도는 말 그대로 없는걸 판다라는 뜻이에요. 즉, 현재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판매한다는 거죠. 만약 제가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게요. 근데 지금 당장 돈이 필요해서 이걸 팔고싶어요. 그러면 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네 맞아요. 그냥 팔면되요. 하지만 그렇게 되면 너무 큰 손실이 발생하겠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기관에게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고 빌려온 주식을 팔아 현금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있어요. 이렇게 하면 적은 금액이라도 쉽게 현금화시킬 수 있겠죠? 이게 바로 공매도입니다.

 

 



공매도제도의 장점과 단점

 공매도제도는 특정종목의 주가가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매도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수준으로 되돌리는 등 순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일부 세력 또는 작전 세력이 공매도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동성이 부족한 종목의 경우 공매도거래가 집중될 경우 주가하락 가속화 등 시장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Recent Posts
Popular Posts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