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대 그리스 철학사상을 연구한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 명인 플라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플라톤의 철학은 인간의 영혼과 이성, 진리와 지식의 추구, 교육, 삶의 의미 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플라톤의 철학의 핵심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진리관
플라톤은 진리와 지식의 추구를 중요시하였습니다. 그는 현실의 세계가 불완전하고 변덕스러워서, 진리나 현태로 나타나지 않도록 했습니다. 그것은 영원하고 불변적인 형태의 세계로 존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진리를 발견하려면 이 세상에서 떠나, 정신의 세계로 영혼을 이끄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영혼관
플라톤은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영혼이 육체의 감각을 초월하고, 유연한 존재로서 하나의 인격체를 형성한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그는 영혼이 사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고 믿었으며, 육체가 죽어도 계속해서 존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플라톤은 영혼을 가장 중요한 기능인 지식의 수혜를 위한 도구로 간주하여, 인간의 교육과 윤리적인 발전에 많은 관심을 두었습니다.
교육관
플라톤은 교육을 통해 인간의 영혼의 발전과 지식의 습득을 촉진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교육이 인간을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으로 본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또한 정치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을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군주, 격려하고 가르치는 일부분의 관심을 기울이며, 교육이 시민에게 진리와 지식을 전달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밝혔습니다.
현대사회에 주는 시사점
첫째,
플라톤은 영원하고 불변적인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했습니다. 이것은 현대사회에서도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추구할 때 영감과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둘째,
플라톤의 철학은 지식과 진리의 추구를 중요시하고, 그것이 인간의 발전과 개선에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도 학습과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지식과 진리를 공유하고, 사회 발전에 이를 활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셋째,
플라톤은 윤리적 삶과 목적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는 도덕적인 가치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여, 개인과 집단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도덕적 인식과 가치를 지향했습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도 윤리적인 행동과 책임, 사회적 정의와 공평성 등에 대해 고민하고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장점
1. 플라톤은 진리와 지식의 추구를 중요시한 것으로, 민주주의, 엘리트주의를 넘어있는 개념적 입장을 제시합니다.
2. 플라톤은 현실의 불완전한 세계에 대한 비판과 이상적인 세계의 추구로, 현대사회의 발전과 혁신에 대한 영감과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3. 플라톤은 영혼의 존재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시하며, 이로 인해 인간의 윤리적인 발전과 진화에 기여합니다.
단점
1. 플라톤이 제시한 이상적인 세계 개념은 이론과 현실 사이에 간극을 생각하게 되어, 현실에 대한 이상화된 과대한 기대 실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플라톤은 육체, 지식, 인격체 등을 분리하여 이해함으로써 과도한 이분법적 입장으로 갈 수 있습니다.
3. 플라톤의 인격체, 지배자 개념은 현대적인 개념의 이해에 반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격의 길들이고 유치하기 어려우므로 개인의 계발을 방해하거나 충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고대 그리스 철학사상에서 플라톤의 핵심 철학은 인간과 세상에 대한 이해, 삶의 여정에서의 진리와 지식의 추구, 교육의 중요성 등을 표방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영혼이 존재하며, 진리는 정신적인 세계에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인간이 영혼과 이성적인 면을 재조명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영혼의 발전과 지식의 습득을 촉진하는 것을 강조하여, 정치 제도개선에도 기여하였습니다.
플라톤의 철학은 현대 사회에서도 깊은 인상을 남기며, 교육이 곧 인류의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는 가장 큰 기초라는 사실을 상기시켜주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인간의 정신과 영혼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영원하고 불변적인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 우리 모두에게 깊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알현이'였습니다.구독과 공감은 ♥입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헬레니즘 시대] 에피쿠로스학파(Epicurus) | 쾌락주의, 아타락시아, 원자론적 유물론, 현대사회에 주는 시사점 (0) | 2023.06.30 |
---|---|
[고대 헬레니즘 시대] 스토아학파(Stoicism) | 로고스, 아파테이아, 비극적 망각 (0) | 2023.06.29 |
[고대 그리스 사상]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 중용, 행복, 현대사회에 주는 시사점 (0) | 2023.06.28 |
[고대 그리스 사상] 소크라테스(Socrates) | 주지주의, 산파술/대화법 (0) | 2023.06.26 |
[고대 그리스 사상] 소피스트(Sophist) | 프로타고라스, 트라시마코스 (0) | 2023.06.25 |